도구 사용하고 기억력도 탁월
과학동아
고대 그리스의 작가 이솝은 동물을 등장시켜 세상을 풍자한 우화를 많이 남겼다. 그 가운데 까마귀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 두편을 보자.
영리한 까마귀 : 목마른 까마귀가 유리병에 들어있는 물을 발견했다. 그런데 병주둥이가 길쭉하고 물이 반밖에 차지 않아 마실 수 없었다. 똑똑한 까마귀는 자갈을 물고 와 떨어뜨려 수위를 높여 물을 마셨다. 어려움에 처해도 까마귀처럼 기지를 발휘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교훈.
까마귀와 여우 : 고깃점을 물고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까마귀를 본 여우는 까마귀의 외모를 칭찬한다. 목소리까지 좋다면 새의 왕이 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까마귀는 우쭐해 입을 열다가 고깃점을 떨어뜨린다. 여우는 고깃점을 냉큼 받아 물고 줄달음친다. 감언이설에 현혹되면 신세를 망칠 수 있다는 교훈.
앞의 우화에서는 까마귀가 현명한 사람을 상징하는데 반해 뒤의 이야기에서는 허영에 찬 사람에 비유되고 있다. 까마귀에 대한 일관된 관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솝은 뛰어난 우화작가일지는 몰라도 동물행동학자로는 자격미달인가보다. 그렇다면 실제 까마귀의 모습은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2004년 12월 10일자 ‘사이언스’에는 까마귀과 조류의 지능에 관한 최근 수년간의 연구결과를 요약한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여우는 까마귀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뿐더러 까마귀의 지능은 침팬지 같은 영장류에 필적한다고. 까마귀는 얼마나 영리한 새일까.
여기 동영상을 보면.. 까마귀의 지능이 얼마나 높은지 알수가 있을거같다.
자신의 먹이(호두)를 먹기 위해.. 높이 날아올라 길 바닥에 떨어트려 깨지게하여 먹으려고 시도를 한다 하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은지.. 까마귀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새로운 방법이 동원되는 것이다.. 현대문명을 사용할줄 아는 까마귀~~ 여기서 까마귀의 지능이 얼마나 높은지 엿볼수가 있는거 같다.
주변을 살펴보고.. 까마귀는 행길 바닥에 호두를 떨어트린다 차바퀴의 압력을 이용하여 깨트려하는 것이다... 놀아운 광경이다~~ 하지만 차들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통해 쉽사리 먹을수 없는먹이..
그럼 까마귀는 여기서 포기할까? 더 지켜보자.. 다시금 주변을 살피는 까마귀 이번에는 행단보도를 이용하여.. 한적한 틈을타.. 자신의 먹이를 자동차 바퀴를 이용해 깨트려 먹는 모습이 포착된다.. 정말 놀라운 광경이다.. 어떻게 행단보도를 이용하려 생각했을까... 쉽게 보고 넘길수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까마귀의 주변을 살피고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에 감탄하지 않을수가 없다. 정말 지능이 높은 새임에 틀림이 없다.
그렇다면 왜 까마귀를 나쁜새(흉조)일까? 우리에게 있어 까마귀는 과연 어떤 존재일까?
우리는 까마귀가 까악 까악 울고, 까마귀의 색이 시커많다는 점, 까마귀가 시체를 먹는 새라고 해서
흉조, 재수 없는 새라 여기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까마귀는 효자새이다. 조류 중에 유일하게 늙은 어미를 보살피는 새가 바로 까마귀인 것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며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는 것을 으뜸으로 삼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우리가 으뜸으로 삼는 효를 실천하는 까마귀를 흉조라고 인식하는 건가?
서양의 엑소시스트라는 영화가 있다.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영화로, 공포 영화의 대명사라 불리우는 영화이다. 여기서도 까마귀는 나쁜 새로 등장한다. 사람의 눈알을 파먹는 새로 말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까마귀가 시체를 먹는 점을 착안하여, 살아있는 사람의 눈을 파먹는 새로 그린 것이 아닐까 한다.
사실 까마귀는 흉조가 아니다. 까마귀는 바로 태양새를 뜻한다. 우리민족에 있어서 까마귀는 길조이자, 광명을 상징하는 새이다. 고대 우리민족은 태양을 숭배했다. 그래서 태양 즉 하늘과 우리를 연결하는 메신저로 새를 선택했는데 그 새중에 선택된 새가 바로 까마귀이다. 고대 우리 조상들이 남긴 유물을 보면 솟대라는 것이 있다. 솟대는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인데, 솟대를 보면 나무 막대기 위에 새 형상이 그려져 있다. 이 새가 바로 까마귀를 뜻한다.
까마귀는 태양신의 사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까마귀를 신조(神鳥) 또는 태양신의 사자(使者)로 보는 신화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에도 볼 수 있다. 흔히 까마귀를 현조(玄鳥)라고 부르는데 현조는 하느님이 보낸 사자(使者) 천조(天鳥)로서 태양 속에 있다는 까마귀를 가리키는 것이다.
시베리아를 비롯하여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무당들이 굿을 할 때 까마귀의 깃털을 어깨에 달고 신(神)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캄차카 반도의 코리약족은 그들의 전설 속에서 까마귀를 조물주로 보고 북유럽 신화의 주신 오딘(Odin)에게 후긴과 무닌이라는 까마귀가 있어 인간세상의 일을 오딘에게 알려주는 신의 사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시 우리민족은 백색과 함께 흑색을 즐겨 사용하였다. 고구려의 무예집단인 조의선인이 조의(검은 옷)를 즐겨입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민족은 검은색을 숭상했고 그 검은색의 상징인 까마귀가 바로 태양새라는 인식이 생겨났던 것이다.
음양오행 사상에 의하면 모든 생명은 북방의 물(水)에서 탄생하였다. 그런데 북방의 물을 상징하는색이 바로 검은색이다. 검은색은 모든 색이 합쳐진 색으로, 이는 모든 생명이라든지 물질이라든지, 아니면 그 외 기타 등등 세상 만물의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니 그만큼 음양오행사상에 있어, 검은색은 생명의 씨앗을 담고 있다 할 수 있다.
『단군세기』를 보면 단군조선 8대 우서한 단군 때 세발 달린 새가 궁중에 들어왔는데, 단군세기에 의하면 이 시기는 단군조선 전성기로, 세 발 달린 새가 기록되었다는 것은 단군조선의 번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면 태양에 세 발 달린 까마귀인 삼족오가 그려져 있다.
혹자는 태양 속의 흑점이 검은 빛으로 나타나서 마치 까마귀의 모양으로 보였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무튼 고구려는 삼족오 다시 말하면 까마귀를 태양의 상징이라 보았던 것이다. 그렇기에 고구려는 자신들의 상징물을 삼족오로 택하였고, 고구려가 전쟁시 깃발에 삼족오를 그려넣은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민족은 삼신을 섬겼다. 삼신이라 함은 현재 삼신할미신앙으로 남아있는 바로 그 삼신을 말한다. 그런데 삼신은 아기를 점지해주는 삼신할미가 아니라 이 우주를 창조한 근원신을 말한다.
『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를 보면
"삼신이란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로, 천일은 조화, 지일은 교화, 태일은 치화를 주관한다. 삼신은 쓰임으로 그 본체는 일상제(一上帝)로 곧 하느님이다"
즉 천일, 지일, 태일의 삼신은 하느님의 성격과 작용과 이법을 표현한 것으로 하느님은 바로 유일신을 뜻한다. 천, 지, 인의 삼신일체이신 하느님은 천도이며, 만유의 근본이고 우주 운행의 원리인 것이다.
그리고 삼신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하늘의 도인 무극, 땅의 도인 태극, 인간의 도인 삼태극으로 이러한 삼신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생물화시킨 것이 바로 삼족오이다. 삼족오는 세 발 달린 까마귀인데, 세 발 까마귀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번째가 삼신을 상징하는 천, 지, 인이고, 두번째가 환인, 환웅, 단군이다.(『삼일신고』에 의하면 환인을 조화주, 환웅을 교화주, 단군을 치화주라 표현) 세번째는 고조선의 삼한관경제도 즉 진한, 마한, 번한이고, 네 번째는 고구려, 백제, 신라인데 이는 곧 고조선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태어났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인지 혹자는 까마귀(정확히 말하면 삼족오) 우리민족의 원형을 보여주는 새라고 한다.
발췌 : http://blog.naver.com/knightblack/14314140
이글과 동영상을 보면서 까마귀를 보는 시선과 생각이 달라졌으면 합니다^^
과학동아
고대 그리스의 작가 이솝은 동물을 등장시켜 세상을 풍자한 우화를 많이 남겼다. 그 가운데 까마귀를 주인공으로 한 이야기 두편을 보자.
영리한 까마귀 : 목마른 까마귀가 유리병에 들어있는 물을 발견했다. 그런데 병주둥이가 길쭉하고 물이 반밖에 차지 않아 마실 수 없었다. 똑똑한 까마귀는 자갈을 물고 와 떨어뜨려 수위를 높여 물을 마셨다. 어려움에 처해도 까마귀처럼 기지를 발휘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교훈.
까마귀와 여우 : 고깃점을 물고 나뭇가지에 앉아있는 까마귀를 본 여우는 까마귀의 외모를 칭찬한다. 목소리까지 좋다면 새의 왕이 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까마귀는 우쭐해 입을 열다가 고깃점을 떨어뜨린다. 여우는 고깃점을 냉큼 받아 물고 줄달음친다. 감언이설에 현혹되면 신세를 망칠 수 있다는 교훈.
앞의 우화에서는 까마귀가 현명한 사람을 상징하는데 반해 뒤의 이야기에서는 허영에 찬 사람에 비유되고 있다. 까마귀에 대한 일관된 관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이솝은 뛰어난 우화작가일지는 몰라도 동물행동학자로는 자격미달인가보다. 그렇다면 실제 까마귀의 모습은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
2004년 12월 10일자 ‘사이언스’에는 까마귀과 조류의 지능에 관한 최근 수년간의 연구결과를 요약한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여우는 까마귀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 뿐더러 까마귀의 지능은 침팬지 같은 영장류에 필적한다고. 까마귀는 얼마나 영리한 새일까.
여기 동영상을 보면.. 까마귀의 지능이 얼마나 높은지 알수가 있을거같다.
자신의 먹이(호두)를 먹기 위해.. 높이 날아올라 길 바닥에 떨어트려 깨지게하여 먹으려고 시도를 한다 하지만 그것도 여의치 않은지.. 까마귀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새로운 방법이 동원되는 것이다.. 현대문명을 사용할줄 아는 까마귀~~ 여기서 까마귀의 지능이 얼마나 높은지 엿볼수가 있는거 같다.
주변을 살펴보고.. 까마귀는 행길 바닥에 호두를 떨어트린다 차바퀴의 압력을 이용하여 깨트려하는 것이다... 놀아운 광경이다~~ 하지만 차들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는통해 쉽사리 먹을수 없는먹이..
그럼 까마귀는 여기서 포기할까? 더 지켜보자.. 다시금 주변을 살피는 까마귀 이번에는 행단보도를 이용하여.. 한적한 틈을타.. 자신의 먹이를 자동차 바퀴를 이용해 깨트려 먹는 모습이 포착된다.. 정말 놀라운 광경이다.. 어떻게 행단보도를 이용하려 생각했을까... 쉽게 보고 넘길수도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까마귀의 주변을 살피고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에 감탄하지 않을수가 없다. 정말 지능이 높은 새임에 틀림이 없다.
그렇다면 왜 까마귀를 나쁜새(흉조)일까? 우리에게 있어 까마귀는 과연 어떤 존재일까?
우리는 까마귀가 까악 까악 울고, 까마귀의 색이 시커많다는 점, 까마귀가 시체를 먹는 새라고 해서
흉조, 재수 없는 새라 여기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까마귀는 효자새이다. 조류 중에 유일하게 늙은 어미를 보살피는 새가 바로 까마귀인 것이다. 우리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며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하는 것을 으뜸으로 삼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우리가 으뜸으로 삼는 효를 실천하는 까마귀를 흉조라고 인식하는 건가?
서양의 엑소시스트라는 영화가 있다.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영화로, 공포 영화의 대명사라 불리우는 영화이다. 여기서도 까마귀는 나쁜 새로 등장한다. 사람의 눈알을 파먹는 새로 말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까마귀가 시체를 먹는 점을 착안하여, 살아있는 사람의 눈을 파먹는 새로 그린 것이 아닐까 한다.
사실 까마귀는 흉조가 아니다. 까마귀는 바로 태양새를 뜻한다. 우리민족에 있어서 까마귀는 길조이자, 광명을 상징하는 새이다. 고대 우리민족은 태양을 숭배했다. 그래서 태양 즉 하늘과 우리를 연결하는 메신저로 새를 선택했는데 그 새중에 선택된 새가 바로 까마귀이다. 고대 우리 조상들이 남긴 유물을 보면 솟대라는 것이 있다. 솟대는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인데, 솟대를 보면 나무 막대기 위에 새 형상이 그려져 있다. 이 새가 바로 까마귀를 뜻한다.
까마귀는 태양신의 사자로 인식되기도 한다. 까마귀를 신조(神鳥) 또는 태양신의 사자(使者)로 보는 신화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에도 볼 수 있다. 흔히 까마귀를 현조(玄鳥)라고 부르는데 현조는 하느님이 보낸 사자(使者) 천조(天鳥)로서 태양 속에 있다는 까마귀를 가리키는 것이다.
시베리아를 비롯하여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무당들이 굿을 할 때 까마귀의 깃털을 어깨에 달고 신(神)과의 대화를 시도한다. 캄차카 반도의 코리약족은 그들의 전설 속에서 까마귀를 조물주로 보고 북유럽 신화의 주신 오딘(Odin)에게 후긴과 무닌이라는 까마귀가 있어 인간세상의 일을 오딘에게 알려주는 신의 사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시 우리민족은 백색과 함께 흑색을 즐겨 사용하였다. 고구려의 무예집단인 조의선인이 조의(검은 옷)를 즐겨입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민족은 검은색을 숭상했고 그 검은색의 상징인 까마귀가 바로 태양새라는 인식이 생겨났던 것이다.
음양오행 사상에 의하면 모든 생명은 북방의 물(水)에서 탄생하였다. 그런데 북방의 물을 상징하는색이 바로 검은색이다. 검은색은 모든 색이 합쳐진 색으로, 이는 모든 생명이라든지 물질이라든지, 아니면 그 외 기타 등등 세상 만물의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으니 그만큼 음양오행사상에 있어, 검은색은 생명의 씨앗을 담고 있다 할 수 있다.
『단군세기』를 보면 단군조선 8대 우서한 단군 때 세발 달린 새가 궁중에 들어왔는데, 단군세기에 의하면 이 시기는 단군조선 전성기로, 세 발 달린 새가 기록되었다는 것은 단군조선의 번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면 태양에 세 발 달린 까마귀인 삼족오가 그려져 있다.
혹자는 태양 속의 흑점이 검은 빛으로 나타나서 마치 까마귀의 모양으로 보였을 수 있다고 말한다.
아무튼 고구려는 삼족오 다시 말하면 까마귀를 태양의 상징이라 보았던 것이다. 그렇기에 고구려는 자신들의 상징물을 삼족오로 택하였고, 고구려가 전쟁시 깃발에 삼족오를 그려넣은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민족은 삼신을 섬겼다. 삼신이라 함은 현재 삼신할미신앙으로 남아있는 바로 그 삼신을 말한다. 그런데 삼신은 아기를 점지해주는 삼신할미가 아니라 이 우주를 창조한 근원신을 말한다.
『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를 보면
"삼신이란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太一)로, 천일은 조화, 지일은 교화, 태일은 치화를 주관한다. 삼신은 쓰임으로 그 본체는 일상제(一上帝)로 곧 하느님이다"
즉 천일, 지일, 태일의 삼신은 하느님의 성격과 작용과 이법을 표현한 것으로 하느님은 바로 유일신을 뜻한다. 천, 지, 인의 삼신일체이신 하느님은 천도이며, 만유의 근본이고 우주 운행의 원리인 것이다.
그리고 삼신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하늘의 도인 무극, 땅의 도인 태극, 인간의 도인 삼태극으로 이러한 삼신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생물화시킨 것이 바로 삼족오이다. 삼족오는 세 발 달린 까마귀인데, 세 발 까마귀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첫번째가 삼신을 상징하는 천, 지, 인이고, 두번째가 환인, 환웅, 단군이다.(『삼일신고』에 의하면 환인을 조화주, 환웅을 교화주, 단군을 치화주라 표현) 세번째는 고조선의 삼한관경제도 즉 진한, 마한, 번한이고, 네 번째는 고구려, 백제, 신라인데 이는 곧 고조선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태어났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인지 혹자는 까마귀(정확히 말하면 삼족오) 우리민족의 원형을 보여주는 새라고 한다.
발췌 : http://blog.naver.com/knightblack/14314140
이글과 동영상을 보면서 까마귀를 보는 시선과 생각이 달라졌으면 합니다^^
글쓴이 : 바다도시 원글보기
메모 :
'스크랩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영상 변환 방법 (mov, avi) (0) | 2006.10.26 |
---|---|
[스크랩] 동영상 편집 (자르기, 합치기 등) - (asf, wmv, wma파일) (0) | 2006.10.26 |
[스크랩] 도토리묵가루 만들기 (0) | 2006.10.10 |
[스크랩] 참치 해체 작업 구경하세요!! (0) | 2006.09.12 |
[스크랩] 벗이여 제발 -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0) | 2006.07.11 |